-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 본격 양산 착수 - - ‘적 위협 전자파’ 실시간 탐지 → 분석‧식별 → 경보 → 전파까지… 생존성 향상 -
방위사업청(청장 전제국)은 1월 25일(목) 오후 2시 ㈜빅텍(경기 이천 소재)에서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 양산사업 착수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양산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는 중소기업인 ㈜빅텍이 2014년 신개념기술시범(ACTD)*으로 개발에 성공하였고, 이어 소요결정 과정을 거쳐 양산단계에 이르렀다. * 신개념기술시범(ACTD : Advanced Concept Technology Demonstration) : 이미 성숙된 민간의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작전운용능력을 갖는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사업으로서, 단기간(36개월 이내)에 개발하여 신속히 군에 전력화하는 사업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는 우리 해군의 중‧소형함정에 탑재되어 적의 레이더 및 유도탄의 위협 전자파 신호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이를 분석‧식별 후 경보하는 장비이다. △ 함정에 탑재된 유도탄 대응체계(R-BOC* 등)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경보함으로써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KNTDS)**를 통해 주변 함정에 전파까지 가능하다. 이로써 우리 해군 함정의 생존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R-BOC : 다량의 은박지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적의 유도탄을 기만하는 방어체계 **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KNTDS : Korean Naval Tactical Data System) : 해군 작전사를 중심으로 전‧평시 전장상황을 가시화하고 함정‧육상 지휘소 간 전술정보를 공유하여 통합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해상작전 지휘통제체계 △ 기존 함정용 전자전장비는 크고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중‧소형 함정에 탑재하기에 곤란하였다. 하지만 이번에 양산되는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는 안테나 등의 부품 경량화에 성공하였다. △ 또한,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부품을 국산화함으로써 정비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여 전투준비태세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나, 국외 유사 성능의 장비와 비교해도 가격 경쟁력이 높아 해외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빅텍은 전자전분야에서 국내 주요 방산업체의 협력업체로 기여해 오다가 이번 함정용 소형전자전장비-Ⅱ를 개발함으로써 신규로 방산업체 지정을 받아 방위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성장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함교탑에 설치된 _함정용 소형 전자전장비-II 안테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