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펜스타임스- defencetimesus.com
로그인 ㅣ 회원가입 ㅣ 비밀번호 찾기 ㅣ 즐겨찾기
Up 최종편집: 5월 11일 (일) 18:13

 한글파일로 저장  메모장으로 저장  워드패드로 저장   프린트 하기
벨사의 AH-1Z 줄루 마리나이제이션


 미해병대의 AH-1Z 줄루는 현용 공격헬기 중 유일하게 해상에서의 운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기체이며 이같은 해상 운용 적합성을 "Marinize", "Marinisation" 이라고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대만 육군의 공격 헬기들은 주로 대만해협 상공이나 대만 남쪽 해안선 근처 공역에 체공하면서 중국 해군육전대의 고속상륙세력을 요격하고 해안선에 침투한 중국의 특수작전 세력을 격멸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상 상공에서의 운용이 잦은 편인데, 해상 운용 시의 높은 염분 침투로 인한 기체 손상이 심한 편이다.

 해상 공역에서 공기부양정 요격 임무와 서해 도서에 대한 항공 투사, 화력 지원과 격멸 임무 등 해상 상공에서 이루어지는 작전은 아무래도 이와 같은 임무들에 특화되어 있는 AH-1Z를 한국 한국 해병대가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장차 한국은 공격헬기의 함상 운용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미 한국 해군은 회전익기 운용이 가능한 강습상륙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추가로 강습상륙함을 전력화 하게 된다.

함상 운용을 위해서는 항공기 자체가 해상 상공의 환경(해풍, 해양전선이나 수괴 등으로 인한 바닷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비행 중 대기 밀도의 변화, 대기 중의 높은 염분 등)에 적합하게 설계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함상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항법 체계등을 갖추어야 하며 함상에서의 운용에 걸맞게 설계된 정비 체계, 군수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AH-1Z는 미 해병대의 요구에 맞추어 설계되어 이와 같은 함상운용을 위한 제반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이 점 역시 아파치와 차별화된 부분이다.

 이미 한국 육군에 AH-64E가 다수 도입되어 AH-1Z 도입이 운용유지비용대비 효과면에서 떨어진다는 이야기에 대해서는 대만과 일본의 사례가 반론이 될 수 있다.

대만의 경우에는 앞서 이야기를 한 것처럼 AH-1W와 AH-64E를 함께 운용하고 있다. 최근 대만 육군
은 AH-1W를 AH-1Z 사양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즉, 중장기적으로 대만 육군은
AH-1Z와 AH-64E를 함께 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일본은 최근에 AH-1Z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AH-1Z는 호주 육군이 에어버스 헬리콥터
(Airbus Helicopter)의 타이거(Tiger) 공격헬기 대체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에도 후보 기종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태국 육군 역시 AH-1Z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같이 AH-1Z는 중장기적으로 아시아-태평양 권역에서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이 운용하는 공격헬기로 자리잡게될 것이다. 무엇보다 AH-1Z는 미 해병대가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장기간 운용할 주력 항공기이다. 따라서 장기간의 운용유지측면에서 AH-1Z는 가장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장기적인 운용유지에서 AH-1Z는 매우 우수한 무기체계이다. 


  

2019년 03월10일 11시56분  

이름: 비밀번호:     ☞ 스팸방지 숫자입력: 8796  
내용

   
엘빗시스템즈
body{font-family:Tahoma,Verdana,Arial;font-size:12..
보잉, F-47 설계도 해커로부터 보호하..
MQ-9 운용지원에서 미공군,미해병대 ..
최신기술로 대함유도탄 기만체계능력 성..
KAI, HJ중공업과 고속상륙정 Batch-II..
HD현대, 정밀 용접 휴머노이드로 ‘조..
록히드마틴, NGAD 기술 전용으로 F-35..

 


2025년 5월호


 1  HD현대중공업, 전투용 무인수상정(USV) ..
 2  록히드마틴, NGAD 기술 전용으로 F-35..
 3  록히드마틴 스컹크웍스, 글로벌 테크 기..
 4  UAE 공군 KF-21 시제기 탑승..KAI ..
 5  HD현대, 정밀 용접 휴머노이드로 ‘조..
 6  HD현대중공업, 자체 개발 잠수함으로 ..
 7  미 해군성 장관, HD현대중공업 방문, ..
 8  HD현대, 미최대 방산 조선사와 ‘함정 ..
 9  KAI, SITDEF 2025 전시회 참가..
 10  최신기술로 대함유도탄 기만체계능력 성..



KAI, HJ중공업과 고속상륙정 Batch

뉴스  육군 l 해군 l 공군 l 주한미군 l 무기 l 정세 l 전쟁史 l 인터뷰 l 기획분석포토뉴스 l 동영상    전문칼럼   발행인 칼럼 l 디타 기자칼럼 l 이승준의 사진방
서울 강남구 신사동 646-9  디펜스타임즈코리아  ☎ (02) 547-6988, FAX (02) 2661-0410    문의 ㅣ 발행인·편집인 안승범   (C) Defence Times 2013  All rights reserved